드디어 발표된 2024 세무사 시험 일정
드디어 세무사 시험 공식 일정이 공개됐습니다. 세무사 시험 공식 일정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Q-NET 이라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글에서 세무사 시험 일정 관련하여 핵심 내용들을 모두 모아 정리하였으니, 이 글만 보셔도 충분합니다.
1. 2024년 세무사 시험 일정(1차/2차)
내년 2024년 세무사 시험일정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주의사항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세무사 시험의 경우 1차 시험 접수일과 2차 시험 접수일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서 1차 시험 합격자 발표일 이후에 2차 시험 접수를 받기 때문에, 동차생 혹은 유예생 혹은 그 이상의 경우 모두 다 해당일(2차 시험 접수일)에 2차 시험 응시 신청을 하여야만 세무사 2차 시험을 볼 기회를 얻게 되니 이 점 매우 유의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1차 시험일정과 2차 시험일정에 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61회차 세무사 1차 시험은 3월 25일 ~ 3월 29일에 접수하고, 5월 4일에 시험을 봅니다. 한편 2차 시험은 1차 시험과 다른 때에 접수합니다. 바로 7월 8일부터 7월 12일에 접수하고, 8월 10일에 시험을 봅니다. 자, 그럼 대망의 합격자 발표일은 언제일까요? 순차적으로 1차 시험은 6월 19일, 2차 시험은 11월 13일에 발표됩니다. 마지막으로 응시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세무사 시험 응시료는 30,000원입니다. 법률 분야 자격증 중 하나인 공인노무사의 경우 1차 시험 응시료만 30,000원이고 2차 시험과 3차 시험의 경우 45,000원을 지불하여야 응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응시할 기회를 얻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세무사 시험과목
지금부턴 세무사 시험과목을 살펴볼게요. 다들 아시겠지만, 세무사 시험은 1차 시험과 2차 시험으로 구분되고 각 시험별로 세부 과목들 간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당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나씩 비교해가며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세무사 1차 시험부터 살펴볼게요. 세무사 1차 시험은 총 5과목을 봅니다. 재무회계, 원가관리회계, 세법학개론, 재정학, 선택법(상법, 민법, 행정소송법 중 택1)이 바로 그것입니다. 세무사 시험과목의 경우 앞서 말씀드린 큐넷(Q-NET)이라는 사이트에도 나와있는데요, 해당 사이트에는 회계학개론, 세법학개론, 재정학, 선택법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실 겁니다. 이때 세무사 1차 시험에서 회계학개론에 해당하는 과목이 바로 재무회계와 원가관리회계입니다. 한편 세법학개론은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조세범처벌법,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세무사 2차 시험과목은 어떤 과목들이 있을까요? 바로 재무회계, 원가관리회계, 세무회계, 세법학이 그것입니다. 이것만 들으시면 세무사 시험 과목이 별로 없다고 느끼실 수도 있으실 겁니다. 과목명만 들여다보면 세무회계를 제외하고는 1차 시험과목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일정 부분은 맞습니다. 실제로 세무사 2차 시험에서 회계학1부에 해당하는 과목이 재무회계와 원가관리회계이고, 회계학2부에 해당하는 과목이 세무회계입니다. 따라서 회계학1부에 관한 추가적인 내용은 크게 없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그러나 회계학2부에 해당하는 세무회계의 경우 새로이 공부할 사항이 많습니다. 더 나아가 세법학은 1차 수준의 세법학개론으로는 커버할 수 없을 만큼 상당한 공부량을 자랑하는 과목입니다. 구체적으로 세법학의 경우 1부와 2부로 나뉩니다. 세법학1부는 국세기본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이렇게 총 4개를 다루고, 세법학2부는 부가가치세법, 개별소비세법, 조세특례제한법, 지방세법, 지방세기본법, 지방세징수법, 지방세특례제한법 이렇게 총 7개를 다룹니다. 따라서 세법학의 경우에는 해당 세부 법률들에 대한 심도 깊은 학습을 추가적으로 하여야만 합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