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장의 결 3

코인(크립토) 정보가 필요할 때 찾는 주요 사이트: 코인마켓캡, 코인게코, 쟁글, 코빗 리서치, 블록미디어, dex screener

지난 편에서는 크립토 거래소에 대해서 국내 유명 거래소, 해외 유명 거래소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거래소 외에도 크립토 관련 여러 주요 사이트가 있는데, 해당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시세/백서 등 정보 사이트 크립토의 경우, 24시간 가격이 변동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식과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죠. 따라서 가격에 대한 체크가 필수적인데요. 시세 외에도 해당 코인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서 역할을 하는 백서도 크립토 투자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 자료죠. 백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크립토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여러 섹터별 주요 코인들에 대해서도 시총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하고 있으니깐요.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두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의 결 2024.05.16

코인(크립토) 정보가 필요할 때 찾는 주요 사이트: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최근 비트코인 등 크립토 자산군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크립토의 경우, 일반 주식과 달리 재무제표 등이 없죠. 따라서 크립토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각종 커뮤니티(x, telegram 등)에서 활동하시면서 정보를 얻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한편 해당 커뮤니티를 이용하지 않는 분들도 무료로 크립터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있는데, 오늘은 해당 사이트들에 대해서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1. 국내 거래소 우선 거래소 사이트입니다. 중앙화된 거래소부터 탈중화된 거래소까지 거래소는 너무 많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몇 가지만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1) 업비트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거래소는 업비트죠.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카카오톡으로 로그인하시면 간편로그인을 통해 쉽게 회..

시장의 결 2024.05.16

비트코인 세금, 가상자산 과세(기획재정부, 국세청 공식 자료)

요새 비트코인이 떠뜰석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이슈는 바로 세금 이슈입니다. 과연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의 세금은 어떻게 매겨질까요? 지금부터 기획재정부와 국세청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1. 세율 20%(소득세는 250만원까지는 기본 공제)이 글은 "국세청-거주자의 가상자산소득 과세 개요" 내용을 바탕으로 재정리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식 자료이니만큼 확실한 정보로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지난 2020년에 세법이 개정되면서 2021년부터는 가상자산 양도차익에 대해 20%의 세율이 적용하기로 되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비트코인이 가상자산인지 가상화폐인지 암호화폐인지조차 국가기관들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기도 했고, 제대로 된 제도적 정비 없이..

시장의 결 2023.12.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