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4CPA
- 세무사대학
- CPA합격자순위
- dexscreener
- 세무사
- 텝스서울대
- 업비트
- 2024세무사시험
- 서울대대학원
- 공인회계사
- 바이낸스
- 코인
- 2024공인회계사시험일정
- 크립토
- CPA대학순위
- 텝스유형
- 비트코인
- CPA대학
- CTA대학순위
- 2024노무사시험일정
- 2024공인회계사
- 서울대대학원입학
- 카투사합격
- 2024CPA시험일정
- 2024세무사시험일정
- CPA
- CTA순위
- 세무사합격자
- 카투사후기
- 2024공인노무사
- Today
- Total
snupa
세무사(CTA), 회계사(CPA), 국제재무분석사(CFA)가 뭐야? 본문
1. CTA, CPA, CFA란?
CTA, CPA, CFA는 모두 회계 분야의 전문 자격증으로,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볼게요.
우선 CTA는 세무사입니다.
"Certified Tax Accountant"의 약자로, 공인 세무사 자격증입니다.
CTA 시험은 세무 분야의 전문 지식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세무 업무, 회계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CPA는 공인회계사입니다.
"Certified Public Accountant"의 약자로, 공인 회계사 자격증입니다.
CPA 시험은 세무, 재무 회계, 감사 등 회계 분야의 전문 지식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세무 업무, 회계 업무, 감사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FA는 국제재무분석사입니다.
"Chartered Financial Analyst"의 약자로, 금융 분석가 자격증입니다.
CFA 시험은 금융 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금융 투자, 금융 리스크 관리, 기업 재무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CTA, CFA, CPA에 대해 항목별로 비교해볼게요.
비교항목으로는 시험 주관/시험 과목/시험 난이도/평균 준비 기간/취득 후 진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험 주관의 경우, 세무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지만 공인회계사는 금융감독원에서 주관하고 CFA는 CFA Institute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시험과목의 경우 CTA는 회계학, 세법학, 재정학, 선택법(상법, 민법, 행정소송법)을 봅니다.
한편 CPA는 회계학, 세법학, 상법, 경영학, 경제학, 재무관리, 회계감사를 봅니다.
CFA는 FRA, QM, CF, PM, FI, DI 등을 봅니다.
시험 난이도를 높은 순서로 비교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혹자는 CPA>CFA>CTA라고 하고, 혹자는 CFA>CPA>CTA라고 하고, 또 혹자는 CPA>CTA>CFA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시험별로 중점을 두는 주력 과목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비교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평균 준비기간으로 유추할 수는 있겠습니다.
CPA는 평균 3-4년이지만, CTA와 CFA는 1-2년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한편 취득 후 진로의 경우 CFA는 헤지펀드, VC, IB 등 금융권으로 주로 진출하는 한편 CTA와 CPA는 법인에서 근무하거나 개업을 하거나 M&A Deal 부서로 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2. CTA / CPA / CFA 장단점
우선 CTA부터 볼게요.
장점입니다.
세무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출 수 있고, 취득 기간이 비교적 짧고, 취득 비용이 낮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공인회계사와 세무 관련 업무는 겹치지만 감사 업무는 공인회계사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무 범위가 좁다는 점이 한계점이자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한편 CPA의 장점은 회계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출 수 있다는 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아무래도 시험 난이도가 높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CFA입니다.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금융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출 수 있다는 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아무래도 영어로 시험이 출제되다 보니까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시험 난이도가 매우 높다고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그럼 이제부터는 CTA / CPA / CFA를 선택하는 나름의 기준에 대해 살펴볼게요.
모두 세무/회계/금융 분야의 전문 자격증이므로 각자 중점을 두는 것, 각자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해야 합니다.
만일 금융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싶다면 CFA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만일 회계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싶다면 CPA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무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싶다면 CTA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 자격증 모두 취득하기 어려운 자격증이지만, 취득 후에는 높은 연봉과 다양한 취업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목표와 상황에 맞는 자격증을 선택하여 열심히 준비하여 성공적인 커리어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공인회계사(CPA) 시험 일정 공개 (0) | 2023.12.01 |
---|---|
드디어 발표된 2024 세무사 시험 일정 (0) | 2023.11.30 |
최근 공인회계사(CPA) 최종합격자 대학 순위(2017~2021) (0) | 2023.11.16 |
최근 세무사시험 최종합격자 대학 순위(2009~2020) (0) | 2023.10.31 |
세무사는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되는 직업일까? (0) | 2023.10.29 |